관리 메뉴

지구별에서 - Things Old and New

결혼 52주년 - 단상 본문

일상, 단상/나

결혼 52주년 - 단상

샛솔 2013. 6. 16. 10:24

결혼 52주년 - 단상

 

어제가 우리 결혼 52주년되는 날이 었다. 그런데 우린 미국에서 결혼했으니까 오늘 지금 이 시간이 미국시간으로는 6월 16일이고 결혼 52주년 되는 날이다. 그리고 이 글을 쓰고 있는 시각이 미국시간으르는 대개 오후 6시경이니 52년전 결혼식을 올리고 있거나 올리려고 준비중이었던 시각이다.

 

한 짝과 만나 52년 길게 사는 것도 축복이라면 축복이다. 이런저런 이유로 살아서도 갈라서고 헤어지고한다. 또 우리 정도 나이라면 사별한 부부도 상당 수 있다. 나도 지금 내 나이가 77.5세를 넘겼으니 한국 남자의 평균 수명(77.3세)를 넘어섰다. 살아 있다는 것 자체가 행운이다.

 

이 세상에 살고 있는 동물종중에서 완전한 한짝살이종(단혼종 monogamy)은 1~2% 정도 밖에 안된다고 한다. 불행이도 사람도 이 1~2% 에 들어 가지 않는다고 한다. 한짝살이는 맞지만 기간제라고 한다. 즉 Serial Monogamy 라고 한다. 인류학자에 의하면 그 기간은 5~7년이라고 한다. 5~7년이 지나면 또 다른 짝을 찾아 짝짓기를 한다는 것이다. 바람을 피우고 이혼을 하는 것도 어쩌면 아직도 유전자에 각인된 이 기간제 단혼종의 생물학적 정보때문이 아닌가 싶다.

 

진화 생물학적으로 본다면 기간제 단혼제가 된 것은 새끼의 양육기간의 만료와 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인류가 진화하기 전에는 유인원의 성장기간이 5~7년이었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양친의 새끼의 양육기간이 끝나면서 같이 살아야 할 절박한 진화생물학적 이유가 없어진 것이다. 그 기간이 결혼후 흔히 말하는 권태기와 일치하는것은 우연일까?

 

그런데 인류의 진화과정에서 어느 기간에 인간의 뇌가 갑자기 커졌다. 그래서 인류가 태어나서 성인으로 성장하는 기간이 5,7세가 아니라 18,20세로 길어진 것이다. 요즘은 20대에도 성인으로 자라지 못하고 미성년 행세하는 젊은이가 늘어가고 있지만.

 

그런데 이 뇌가 커진 기간이 너무 짧아서 기간제 단혼종의 단혼기간 적응이 아직도 진화중인가 아닌가 생각된다.

 

어찌면 지금 이 순간도 기간제 단혼종의 단혼기간이 5,7년에서 20년으로 늘어나고 있는 과정일지 모른다. 그런데 같이 살다 보면 새끼를 더 낳게 되고 그 기간의 10년 20년이된다.

 

그러니까 20대에 결혼을 하고 20년간 자녀를 생산하고 마지막 자녀 양육 의무가 끝나는 나이는 60대가 된다. 60대에 갈라서는 황혼이혼이 느는 것은 이 새로운 진화생물학적 이유때문이 아닌가 싶다.

 

하긴 드라마 같은데서 보면 60대가 이혼을 못하는 이유를 자녀를 시집장가 보내고서 갈라서도 갈라서자 하는 말들을 하는 것은 인류의 진화 생물학적 관점이 맞는 것 같다. 같이 살아야 할 절박한 이유가 없지만 자녀에 대한 마지막 의무를 마치기 위해 함께 사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우리의 부부 생활도 위기가 없던 것은 아니다. 결혼초 성격 차이로 갈등을 겪기도 했고 70년 귀국할 때 귀국여부를 놓고 갈등을 겪었다. 그러나 그러한 위기를 극복하고 아내가 국제성심학교에 라이브라리안 겸 교사로 다니면서 우리에겐 큰 문제가 없었다. 서로가 따로의 일을 하고 자식들이 잘 자라주니까 다툴일이 없어진 것이다.

 

우리 부부는 오히려 내가 은퇴한 후 더 가까워졌다. 자전거를 함께 타기 시작하면서 우리 부부는 신혼시절 보다 더 밀착한 부부가 되었다. 거의 24시간 붙어 사니까 자연히 더 가까워진 것이다.

 

그것은 어쩌면 더 살 날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자각때문일지도 모른다. 아내가 내가 탐탁치 않아 하는 일을 해도 포용적이 된다. 헤어질 날(사별)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자각은 모든 것을 포용하게 만든다. 그러니 다툴 일이 생기지 않는 것이다.

 

 

 

1961년 6월 16일

우린 아래의 문서에 서명했다.

주례 Starkey 목사가 서명을 지켜보고 있다.

 

 

 

1961년 6월 16일 서명한 결혼증서

 

 

 
  
1~2% 의 단혼종안에 드는 대평원 흙들쥐
 

미국의 대초(평)원에 서식하는 작은 검은색 들쥐가 있다. 귀도 작고 네발과 꼬리도 작단다. 속명은 "대초원흙들쥐(prairie vole)" 이고 학명은Microtus ochrogaster란다. Microtus는 귀가 작다(small ear)는 뜻을 가진 라틴어이고 ochrogaster는 노란 배(yellow belly)란 뜻이란다. 그래서 이 들쥐는 귀와 배를 보고 다른 들쥐와 구별할 수 있단다.

 

이 들쥐가 유명하게 된 것은 70년대 미국의 한 생태동물학자가 이 쥐를 연구하기 시작해서 부터였다. 이 동물학자는 덫을 놓아 이 쥐를 생포할 때 마다 매번 암수 두 마리가 잡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히 여긴 동물학자는 이 쥐에 야광물질을 발라 쥐들을 놓아주고 이들의 행동을 추적해 보니 이들은 한 보금자리 토굴에서 함께 사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들쥐 종은 평생 같은 짝과 산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다. 즉 이 특별한 쥐는 한수컷-한암컷 동물인 것을 알 게 된 것이었다.

 

이 들쥐가 어떻게 열녀 열남이 되었는가 궁금하신 분은

사랑의 묘약

을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일상, 단상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제 임플란트 시술을 받았다.  (4) 2014.03.20
어금니 임플란트  (4) 2014.03.13
78번째 생일  (9) 2013.11.20
임플란트  (2) 2013.09.04
건식 족욕기  (9) 2012.11.20
1945 서울  (0) 2006.03.05
인생, 만남, 부부  (0) 2006.02.19
나에게도 희망이 있다.  (4) 2004.06.16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