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iPhone
- 오블완
- 암스테르담
- 세월호참사
- 리컴번트삼륜자전거
- 보청기
- 자전거길
- amsterdam
- 미국자전거길
- 자전거과학
- IT·컴퓨터
- 자전거여행
- 샌프란시스코
- 세계여행
- 북아메리카(북미)
- 삼륜자전거
- FlashDevelop
- 리컴번트자전거
- Flex3.0
- 사랑
- 낙동강 종주
- 티스토리챌린지
- 자전거
- 리컴번트삼륜
- 아이폰
- CenturyRide
- 국토종주
- 미국
- 낙동강
- Maxcruz
- Today
- Total
지구별에서 - Things Old and New
똥 싼 사람은 따로 있는데 본문
똥 싼 사람은 따로 있는데...
환원주의 시각에서 역사를 바라 보면 화낼 일도 걱정할 일도 없어서 좋다. 우리가 뭘 할 수 있는 것 같아도 아무 것도 할 수 없다. 역사도 하나의 자연 현상이고 아무리 태풍이 몰려 와서 인명과 재산에 피해를 준다 해도 태풍을 미워 할 수 없듯이 역사의 태풍이 몰려 와도 축대나 손질하고 창문이나 꼭 닫고 대비하는 것 이외에는 할 일이 없다.
요즘 자한당이 하는 꼴을 보면 웃음이 나온다. 최고위원들이 하는 말들을 보면 치매 중증환자들이라고 볼 수 밖에 없다. 아베가 싼 똥은 아베가 치고 문대통령이 싼 통은 문대통령 보고 치우란다.
과연 문대통령이 싼 똥이 맞나?
최근에 내가 읽은 Jeff Kingston 의 일본 현대사에 보면 싼 똥의 주인공을 알 수 있다.
1965년 한일간의 기본 관계 조약에는 박정희 한국정부를 대신하여 맺은 밀실 협상의 내용이 상세히 나온다. 2005년 외교문서가 공개 되면서 알려 진 사실들은 다음과 같다.
일본은 처음 피해를 입은 한국인 개개인에 배상할 것을 제안했지만 박정희 정부는 배상은 한국 정부에게 맡기고 배상액을 모두 한국정부에 달라고 요구했다는 것이다.
일본은 이 요구를 들어 주는 대신 차후 일체의 1945년 이전의 일본이 한국에 입힌 손해의 청구권을 포기한다는 조건을 걸었다. 박정희 정부는 졸속하게 기본 조약에 동의 하고 받은 돈으로 개개인게 배상은 거의 미미한 액수만 했다는 것이다 . 전쟁으로 죽은 사람에게 고작 30만원 (당시 액수로는 1200 달러)만 주고 나머지는 경제 개발에 투자를 했다는 것이다. 이 조약으로 인해서 한국은 위안부, 강제징용 근로자, 역사교과서등 역사문제에 대한 발원권을 포기했다는 것이다. 이 것은 한국국민에게는 받아 들일 수 없는 조건이었던 셈이다. 다시 말해서 박정권은 대일 청구권 자금이 급한 나머지 진정한 화해는 후세대에 밀어 버린 것이다 (reconciliation postponed)
한일 기본 조약으로 강제징용 근로자에게 돌아가야 할 배상액을 가로 챈 박정부는 그 후 강제징용 근로자게 아무 배상 대책도 세우지 않았고 자기 아버지의 명예회복을 위해서 정계에 입문했다는 박근혜 전 대통령도 강제징용 근로자의 배상엔 등 돌린채 사법부를 흔드는 위헌적 방법으로 강제징용 근로자의 소송을 막으려 했다.
그런데 오늘 자한당은 바로 이 두 전 박 대통령에 기생충같이 빌 붙어 권력을 향유하고 그 상전들은 죽거나 감옥에 갔는데도 이름만 바꾸고 여전히 금뱃지를 달고 저들 상전들이 싼 똥을 문대통령이 싼 똥이라고 엉뚱한 비난을 하고 있다.
오늘의 한일간 무역분쟁은 아베nesia(Abe+Amnesia) 와 자한mentia(자한당+dimentia)의 합작품이다. 아베는 과거사를 기억상실자인 것 처럼 모르쇠로 일관해서는 안되며 한일 기본 조약만 내세울 것이 아니라 겸허한 자세로 과거사를 반성해야 한다.
자한당은 누가 똥을 쌌는지 확실히 기억하고 문정부에 협력해서 난관을 극복해야 한다.
In 2005, the government of South Korea released diplomatic documents covering negotiations about the 1965 agreement that reveal Japan had proposed offering compensation directly to individuals, but Seoul took charge of such disbursements. Although accepting a large sum of Japanese compensation for a million Koreans conscripted as laborers or soldiers in exchange for waiving all future claim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paid victim families only modest sums of 300,000 won (approximately $ 1,200) for each death and spent most of the Japanese redress allocated for individual compensation on industrialization and infrastructure projects. Ongoing recriminations over such issues suggest that the Treaty provided no substantial basis for overcoming the contentious colonial past or advancing reconciliation. From a South Korean perspective, the historical issues–notably the comfort women, forced laborers, and Japanese textbook treatments of colonialism and war–require unqualified Japanese recognition of wrongdoing, acceptance of responsibility, and compensation. Reconciliation Postponed. From "Japan (Polity Histories)" by Jeff Kings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