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리컴번트자전거
- 사랑
- 리컴번트삼륜자전거
- 낙동강 종주
- amsterdam
- 국토종주
- iPhone
- Maxcruz
- IT·컴퓨터
- 아이폰
- 티스토리챌린지
- 미국자전거길
- 세월호참사
- 삼륜자전거
- 샌프란시스코
- 보청기
- Flex3.0
- 자전거길
- FlashDevelop
- 미국
- 자전거과학
- 낙동강
- 오블완
- 북아메리카(북미)
- 리컴번트삼륜
- 자전거여행
- CenturyRide
- 자전거
- 암스테르담
- 세계여행
- Today
- Total
지구별에서 - Things Old and New
마젤란 MapSendLite v.2에서 작성한 Route를 Track으로 변환하기 본문
마젤란 MapSendLite v.2에서 작성한 Route를 Track으로 변환하기
Route를 Track으로 변환하는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
Route 와 Track 파일을 모두 gpx 파일을 바꿔놓고 Text 파일로 열어 보면 gps 단말기로 기록한 track
의 gpx 포멧과 그 구조가 아주 비슷하다. 모두 xml 파일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두 파일을 비교해서 Route - gpx 파일을 Track -gpx 파일처럼 고쳐 주는 것이다.
아래 그림은 단말기로 궤적을 작성하여 gpx 파일을 변환한 다음 이것을 메모장에서 열어 본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12/20_1_29_1_blog352200_attach_4_461.jpg?original)
그림 1. gps 단말기로 기록한 궤적 파일(확장자가 "log")을
gpx파일로 바꿔 놓은 gpx track 파일
한편 MapSendLite v.2에서 작성한 Route를 gpx 파일로 저장하면 아래와 같은 파일이 생성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11/7_1_29_1_blog352200_attach_1_182.jpg?original)
그림2. MapSendLite v.2에서 작성한 Route를
gpx 파일로 저장하면 생성되는 파일이다.
그림 1의 Track 의 gpx 버전과 아주 흡사하다.
대부분의 차이는 trkpt 대신 rtept으로 로 이름 붙여진 것들이다.
위의 두 파일은 모두 xml(extended markup language)파일이다.
이 파일을 메모장(notepad)과 문서편집기로 약간 수정하면 Track 의 gpx 파일로 바꿔 놓을 수 있다.
먼저 그림 2. 에서 선택한 부분을 지운다.
Route는 Waypoint를 49개밖에 작성할 수 없어 자전거 코스같이 긴 거리의 Track을 만들기에는 택도 없이 그 갯수가 부족하다. 따라서 여러개의 Route를 이어서 만들 수밖에 없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중간 중간에 Route2, Route3 과 같이 구분이 지어진 요소들이 있는데 이것들을 삭제해 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13/29_1_29_1_blog352200_attach_4_473.jpg?original)
그림 3. xml 파일구조도 html 파일 구조와 같아서
시작태그 <>와 마침태그</>가 있어 짝으로 삭제해 주어야 한다.
위의 highlight 한 부분의 </rte> 태그는 Route 2의 시작 태그<rte>의 마침태그다.
그 사이가 Route 2의 Waypoint 구간임을 가르키는 태그다.
위에 highlight 한 부분을 삭제한다.
이처럼 가운데 부분의 Route1, Route2, Route3...... 등을 구분하는 태그들을 다 삭제한 다.
그런 다음 rtept (route point) trkpt(track point) 로 바꿔 준다.
즉 메모장에서 모두 바꾸기 메뉴를 열어 아래와 같이 입력한 다음 모두바꾸기 버튼을 클릭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13/29_1_29_1_blog352200_attach_4_474.jpg?original)
그림4. 메모장 편집메뉴에서 바꾸기 메뉴를 열면
뜨는 팝업메뉴창
여기서 rtept 를 trkpt 로 모두 바꿔 준다.
다음은 그림 1 을 참조해서 이문서의 위 아래를 아래와 같이 수정한다. 문서의 시작은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12/20_1_29_1_blog352200_attach_4_462.jpg?original)
그림 5. 문서의 시작부분은 위와 같이 highlight 안 부분을 삽입한다.
문서의 끝부분도 그림 1의 파일 모양을 시늉내서 아래와 같이 수정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14/3_1_29_1_blog352200_attach_2_255.jpg?original)
그림 6. 문서의 끝 부분엔 이런 태그들을 삽입한다.
이렇게 수정이 끝나면 이 파일을 다른 이름으로 정장하는데 이때 확장자가 gpx가 되게 "CraterLake.gpx" 와 같이 따옴표를 써서 파일 이름을 지정한다.
이렇게 하면 그림 1에서 보여 준 단말기로 작성한 track의 gpx 의 구조를 최소한으로 닮게 만들었다.
이정도면 GoogleEarth는 물론이고 MapSendLite2 도 Track 파일로 인식하고 Waypoint 표시같은 것 하지 않고 track을 그려 준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단말기에서 생성된 Track - gpx 파일 닮은 꼴이 되게 Route -gpx 파일을 수정해 주는 것이다.
끝으로 이 파일을 MapSendLite에서 불러 들이면 track 이 나온다. 이 track을
GPS Contents -> Tracks -> Save to File을 하면
확장자가 'log'인 Magellan Explorist 의 고유의 track 파일이 생성되고 이를 단말기에 upload 하면 단말기에 궤적이 보인다.
-----------------
"필요는 발명의 어머니" 라든가 "궁하면 통한다" 라든가는 속담이 있다.
궁색하지만 직접 Route를 track으로 바꿔 주는 메뉴가 없는 MapSendLite2에서 이 방법이 가장 간단한 방법일 듯 쉽다.
메모장만 있으면 되니까..
제주도의 1100고지의 track을 만들어 보았다. 제주도 광관산업고등학교에서 1100 고지 휴게소까지 매년 자전거의 Hill Climbing 대회가 열리는 코스다. 아래와 같이 Route를 만들어 GPX 파일로 저장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12/20_1_29_1_blog352200_attach_4_463.jpg?original)
그림 7. Route 만들기
제주시 관광산업고등학교에서 1100고지 휴게소까지
Route 를 만들어 gpx 파일로 저장한다.
그런 다음 위에서 와 같이 파일을 수정하여 Track 의 gpx를 만들어 불러 오면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12/20_1_29_1_blog352200_attach_4_464.jpg?original)
그림 8. Track으로 변모된 경로
제주시의 관광산업고에서 1100고지 휴게소까지의 track.
다시 이 gpx Track 파일을 GPS Contents -> Tracks -> Save to File 로 저장하면 Explorist 단말기에서 궤적을 저장할 때 생성되는 확장자가 'log' 인 파일이 생성된다.
이 파일을 단말기에 Upload 하면 단말기에서 이 track 을 볼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11/7_1_29_1_blog352200_attach_1_183.jpg?original)
그림 9. 다시 경로파일로 바꿔 단말기 업로드하면
track을 볼 수 있다.
Track 의 gpx 파일을 computrainer 의 코스파일로 변환하여 compuTrainer 에 올리면 아래와 같은 코스 그림이 나온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15/16_1_29_1_blog352200_attach_4_421.jpg?original)
그림 10. Computrainer에 1100고지 Hill Climbing Course를
생성해 보면 나오는 그림이다.
Elevation은 오르막 구간만 모두 합치면
총 1382.7 미터 오른다는 뜻이다.
'자전거 > CompuTrain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빗속으로 - 물위의 하룻밤 (2) | 2014.06.24 |
---|---|
트루드 팜스프링스 2012 (3) | 2011.08.13 |
Crater Lake 돌기 (0) | 2008.09.02 |
Magellan MapSendLite2 와 CompuTrainer의 만남 (0) | 2008.07.27 |
CompuTrainer에 푹 빠져 있다. - 뱃살과의 전쟁 (0) | 2008.06.01 |
비오는날 보리스와 코니의 자전거 경주 (0) | 2008.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