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지구별에서 - Things Old and New

하마터면 못 올 뻔 했던 길을 걸어 왔다. - 그 무서웠던 운명의 갈림길 본문

일상, 단상/나

하마터면 못 올 뻔 했던 길을 걸어 왔다. - 그 무서웠던 운명의 갈림길

샛솔 2019. 6. 28. 16:52

하마터면 못 올 뻔했던 길을 걸어왔다. - 그 무서웠던 운명의 갈림길

 

625 전쟁은 많은 사람들의 운명을 갈라놓은 계기가 되기도 했다.   나 역시 그중의 하나다.   

 

전에 박완서님의 "못 가 본 길이 아름답다."라는 책에 대해서 썼을 때 내 운명에 대해서 몇 줄 언급한 일이 있다.

 

*****************************

나도 비슷한 경험을 했다.   지난해 625의 60돌을 맞아 내 625 생존기를 내 블로그에 올린 일이 있다.  나도 625로 인해 가정이 와해되고 전쟁고아 같은 신세가 되었다.  그래서 학업을 계속하기 위해 해사에 들어가 물리학을 하려고 했었다는 이야기를 썼었다.

 

내가 해사를 뛰쳐 나와 내 가고 싶던 길을 가지 않았다면  지금쯤 어떤 길을 갔을까?    나도 역시 이 책의 저자처럼 못 가본 길에 대한 아쉬움을 간직하고 있었을지 모른다.  참으로 다행한 것은 난 가고 싶었던 길을 갔고  행복하고 후회 없이 살았다는 것이 저자와는 다른 점일 것이다.



출처: https://boris-satsol.tistory.com/640 [지구별에서 - Things Old and New]

*****************************  

 

사실 이렇게 가볍게 몇줄로 적을 만 큼 내 운명의 갈림길에서 쉽게 선택한 길은 아니었다.   그래서 언젠가는 난 그때 내가 겪었던 처절했던 내 "투쟁"에 대해 기록해 두겠다고 마음먹고 있었다.   

 

내 625 생존기  에도 간략히 언급했지만 태평양 전쟁으로 지리멸멸되었던 우리 가족은 625 전쟁으로 완전히 와해되었다.    

**********************************

그런 와중에서도 난 장래 물리학자가 되려는 꿈을 키우며 청계천변 헌 책방에서 산 일본어 수학이나 물리 책에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물리학과  이 아무개라고 써넣기도 했다.  

 

그러나 막상 고3이 되자 내 장래를 내가 결정해야 할 상황에서 일반대학에 들어가 대학 생활을 할 수 있을까 자신감이 없었다.  

그래서 생각해 낸 것이 해군사관학교에 가자는 것이었다.  그땐 3군 사관학교가 모두 4년제 정규 사관학교로 정착되어 졸업 후 이학사 아니면 공학사 학위까지 주도록 되어 있었다.

 

혼자 떠돌이로 살던 때라 공짜로 먹여 주고 입혀 주고 재워주고 거기에다 공부까지 시켜 주는 사관학교는 참으로 매력적이었다.    해군 사관학교를 선택하게 된 계기는 미국 해군사관학교(Annapolice) 출신의 노벨 물리학자  마이켈슨에  고무되었기 때문이었다.



출처: https://boris-satsol.tistory.com/561 [지구별에서 - Things Old and New]

**********************************

 

미국의 해군 사관학교를 그대로 흉내 내어 만들었다지만 한국 해사는 전혀 다르게 운영되고 있었다.    

 

긴 고민 끝에 다시 내 새 운명을 개척할 것을 결심한다.    내가 해사를 뛰쳐나올 만한 용기가 있으면 사회에 나가 일반 대학에 진학하여 고학을 해서 물리학을 공부할 수 있을 것이란 자신이 생긴 것이다.   

 

이 "용기와 자신감"에만 의존해 어마 어마한 일을 벌인 것이다. 

 

사실 사관학교 교칙에는 자퇴를 할 수 있게 되어 있었지만 교칙은 교칙일 뿐 실제 자퇴를 받아 주지 않았다.   

 

그래서 생각한 것이 과실점을 충분이 받아서 퇴교 처분을 받아 낼 생각을 한 것이다.   탈영은 퇴교에 해당하는 과실점을 주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돌이켜 생각하면 미련한 짓이었다.

 

1954년 11월 어느날  아침 난 몰래 사관학교 뒷산으로 올라가 탈영을 했다. 음주 흡연도 거의 퇴교에 가까운 과실점을 매긴다.  난 저녁에 진해 시내에 들어가 막걸리를 사서 마시고 필 줄도 모르는 담배를 사서 몸에 지니고 교문을 통해 사관학교에 들어왔다.

 

그러나 내 계획은 교칙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당시 교장이었던 이용운 준장의 교장실에 불려 가 회유를 받은 것이다.    내가 12기 수석으로 들어왔는데 내가 퇴교를 하면 동기생들이 동요가 있을 것 같다는 예상을 한 것이다.

 

그래서 교장은 내가 퇴교 의사를 철회한다면 탈영 기타 교칙 위반은 가벼운 과실점으로 처리하고 내가 졸업하면 유학을 보내 물리학을 공부할 수 있게 해 준다는 것이다.

 

그러나 난 그것을 받아들일 수 없었다.  거의 두 달 고민을 하고 그 엄청난 모험을 감행한 것인데 이제 교장의 회유를 수용한다면 무슨 꼴인가.   더욱이 교장이 무슨 수로 내 졸업 후의 진로에 대해 약속을 지킬 수 있을 것인가.   그건 그냥 당장 내 퇴교를 막으려는 감언이설일 뿐임을 알았기 때문이었다.

 

교장은 내가 자기의 회유를 거부하자 격분하고 휴전은 휴전일뿐 아직도 전시라는 것이다.  그리고 전시의 탈영을 최고 총살형까지 받을 수 있는 중죄라고 위협하고 사관생도는 준사관이니 고등 군법 회의에 회부하겠다고 해병대 영창에 수감시켜 버린 것이다.

 

1954 11월 중순에 나는 해병대 영창에 수감되어 고등 군법회의를 기다리는 몸이 된 것이다.

 

그때 난 겨우 19번 째 생일 지난 지 며칠 안된 아직도 청소년일 때였다.  난 이 모든 사단을 어머니나 누님 가족에 알리지 않았고 나 홀로 맞섰다.   내 인생의 최대 위기를 내 홀로 맞아 싸웠다.  

 

사람이 불안해지는 것은 미래가 가장 불확실할 때다.   영창에 갇힌 후 한 두 번 해군 법무관이 나를 방문했던 것 같다.  그 중 하나는 서울 법대를 나와 해사 교관으로 사회과학 관련 교양과목을 가르쳤던 분 같다.   

 

내 변호인 격으로 방문한 법무관은 이 모든 과정은 교장의 독단으로 적법하지 않은 절차인데 사관학교 겨울 휴가를 보내고 나면 귀교하지 않는 생도가 생길 것을 우려해서 일종의 시범으로 군법회의를 연다는 것이다.   생도들의 휴가 전날 강당에서 전교생을 앉혀 놓고 열 것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그 날 군법회의가 열리면 어쩔 수 없이 휴가 가는 생도들에게 경고를 주기 위해서라도 중형을 내리게 될 것이란 예상이었다.

 

그것은 위로가 되지 않고 불안만 가중시켰다.

 

나는 기도 이외에 무슨 다른 할 일이 없었다.   그 때도 예비신자로 진해 성당에 다닐 때였다.   대림절에 부르는 성가를 입속으로 되뇌면 기도만 했다.

 

가톨릭 성가는 대부분 기도문이다.

 

구세주 빨리 오사 어둠을 없이 하사.. , 성조에게 허락하신 메시아를 보내소서 어지러운 세상에 방황하는 우리들의 간구함을 들으사… , 우리를 괴롭히니 이 어려움 이기게 도와 주옵소서…

  

 

어두움을 없이 하사..

 

내게서 이 불안을 없애주소서

 

 

사관학교에 응시하고 나서는 합격시켜 달라고 기도를 했고 이젠 내 인생의 가장 캄캄한 암혹을 없애달라고 기도를 하는 아이로닉 한 상황이었던 것이다.

 

군법회의를 기다리던 진해 해병대 영창에서의 20여 일간은 내 생애에서 가장 캄캄했던 불안, 절망의 암혹기였다.

 

사람이 종교적이 되는 때는 바로 이런 암혹기다.  이성적으로 생각을 하고 해도 벗어 날 길이 보이지 않는 그 절박함이 절대자에게 구원을 빌게 되는 것이다.

그때 내 변호인 격인 법무관이 가톨릭 신자였다.    그는 어떻게든 전교생 앞에서 군법회의를 여는 것을 막아야 한다고 했다.   

 

나는 탈영 직전 한 두 달간 거의 묵언으로 보냈다.   내 고민이 깊기도 했지만 내가 퇴교의 계획이 혹시라도 새어 나가지 않을까 걱정했기 때문이다.  대신 일기만 열심히 썼다.  이 사실이 득이 되기도 했고 해가 되기도 했다.  

 

그는 내가 거의 두 달 묵언으로 지낸 사실을 지적해 내가 저지른 탈영은 정신상태가 온전하지 않아서 발생한 것일 수 있다고 주장해 정신 감정을 받게 하고 재판을 열 것을 주장했다.   배심관 대부분은 사관학교 교관(교수)들이었고 교장과 몇 골통 훈육관을 빼고는 이 군법회의는 적법한 절차가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배심관들이 모두 동의하였기 때문에 난 전교생이 모인 강당에서의 재판을 모면할 수 있었다.    정신 감정을 받기 위해 난 영창에 재수감되는 대신 환자로서 위병 하나의 감시를 받으며 사관학교 의무실에서 입원환자 대우를 받으며 다음 군법회의를 기다렸다.  

 

정신감정 결과는 정상으로 판정이 나왔고 생도들이 다 떠난 빈 강당에서 2차 재판이 속개되었다.    이 재판의 판결은 근신 1개월이었고 이어 퇴교라는 행정처분이 내려졌기 때문에 판결 결과는 무의미한 것으로 끝난 것이다.   나는 그렇게 갈망했던 퇴교처분을 받고 서울행 기차를 탔다.

 

 

이 운명을 가른 한 장의 종이 쪽은 내 생애의 가장 처절했던 암흑기를 이겨 낸 훈장이다.  그래서 난 아직도 이 종이쪽을 간직하고 있다. 난 그 이듬해 서울대 물리학과에 입학하여 지금의 길을 걸어 왔다.

 

 

1954년 겨울 내가 용기를 내지 않고 머뭇거렸다면 나는 결국 딴 길을 걸었을 것이다.  그리고 지금 쯤 그 길의 종착점 근방을 서성이며  "그때 난 물리학자가 꿈이었는데.."  하고 못내 아쉬워하며 "못 가본 길이 더 아름답다"라는 블로그 포스팅을 하고 있을지 모른다.

 

 

 

Comments